반응형
와이파이 속도 측정하는 방법
📶 모바일로 3분 안에 끝내기
갑자기 유튜브 화질이 낮아지거나 줌 화상회의가 끊긴다면? 와이파이 속도를 체크해보는 게 우선입니다. 이 글에서는 **누구나 쉽게 따라할 수 있는 와이파이 속도 측정법**을 카드뉴스 형식으로 안내드릴게요.
Step 1. 2.4GHz or 5GHz? 먼저 확인하자
스마트폰 설정 > Wi-Fi에서 접속된 네트워크의 이름을 보세요. SSID 끝에 2G / 2.4G라면 느린 대역, 5G라면 빠른 대역입니다. 측정 전 내가 어느 주파수에 연결됐는지 꼭 확인하세요.
Step 2. 측정은 이 앱 또는 사이트로
- Speedtest by Ookla (앱/웹 모두 가능)
- Fast.com (넷플릭스 기반, 간단함)
- Nperf 앱 (지연, 스트리밍 품질까지 확인 가능)
앱스토어 또는 플레이스토어에서 설치하거나, 브라우저에서 speedtest.net 에 접속하세요.
Step 3. 측정 전 꼭! 준비사항
- 측정 중 백그라운드 앱 모두 종료
- 인터넷 사용하는 다른 기기 잠시 끄기
- 공유기 근처에서 테스트 (신호 강도 ↑)
Step 4. 결과 해석법은 간단해요
✔ 다운로드 속도: 영상 스트리밍, 웹서핑에 영향
✔ 업로드 속도: 파일 업로드, 화상통화 품질
✔ Ping 지연: 게임, 실시간 화상통신 지연 여부
다운로드 속도 100Mbps 이상이면 일반 가정용으론 충분하며, 업로드 20Mbps 이상, 핑 30ms 이하면 우수한 환경입니다.
Step 5. 속도 낮을 땐 이렇게 해보세요
- 공유기 재부팅
- 2.4GHz → 5GHz로 전환
- 채널 자동 설정 해제 → 수동 설정
- 펌웨어 업데이트 또는 공유기 교체 고려
그래도 해결되지 않는다면? 통신사 고객센터에 문의해 신호세기 점검 요청을 하는 것도 방법입니다.
💡 마무리 Tip
와이파이 속도는 상황에 따라 달라집니다. 특히 밤 9~11시 피크타임에는 자연스럽게 느려질 수 있어요. 정기적으로 속도를 측정해두면 이상 발생 시 빠르게 대응할 수 있으니, 오늘부터라도 한 달에 1~2번은 체크해보는 습관을 추천드려요!
반응형